자주묻는 질문
수요가 집중되는 기간에는 가격도 비쌀뿐만 아니라 좌석 확보의 어려움으로 1년 체류 항공권 운임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통상 수요가 집중되는 성수기(하계:7-8월 / 동계 12-2월)나 명절 또는 연휴기간 등 에는 가급적 5-6개월 전에
구매하셔야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좌석확보가 가능하며, 지역별 수요가 집중되는 시기를 제외하고는 1-3개월 전에
"사전구매 할인(Early bird Sale)" 항공권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각 항공사의 일자별 예약상황에 따라 임박해서 특가를 출시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명확히 언제 예약해야
싸다라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
특별히 수요가 집중되는 시기가 아니라면 해당 목적지의 여러 항공편의 좌석상황을 비교해서 구입시기에
반영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하겠습니다.
항공권 TAX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부터 드리면 , TAX는 유가할증료 (Fuel Surcharge)+전쟁보험료+이용하는 공항세 +환경부담금(이산화탄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것이 유가할증료 이고, 국토해양부에서 국제유가에 따라 32단계로 나누어 고객에게 수납받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예약전의 TAX와 예약후의 TAX가 다른이유는 크게 3가지 이유 이며
첫째 ,국제유가의 가격과 환율 2가지에 연동 되기때문에 실시간으로 달라집니다.
이 국제유가는 USD로 구매하기 때문에, 결국 유류할증료는 똑같은 구간이라도 환률과 국제유가(싱가폴항공유 가격이 기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이런 이유로, 전달 또는 전주에 여행하신분과 지금예약하는분은 결제하실 항공료의 TAX가 차이가 납니다.
둘째, 경유하는 공항에 따라 공항세도 틀리며, 경유도시가 많을수록 공항세는 더 많이 냅니다.
똑같은 유나이티드 항공으로 직항으로 샌프란시코를 가거나, 동경을 경유해서 갈수가 있으며
이때 항공료는 똑같습니다.
다만 직항의 경우는 동경공항세(평균 3만원) 가 빠지기 때문에 똑같은 상품이라도 여정에 따라 TAX가 차이가 납니다.
또, 동경의 공항세는 평균 3만원이지만, 홍콩의 공항세는 평균2만원, 런던의 공항세는 평균 6만원등으로
경유해서 가는 도시의 공항세 자체만으로도 차이가 많기때문에 여정을 어찌 선택하느냐? 에따라 TAX가격도 차이가 나게 됩니다.
셋째, 미리보기용으로 보여드리는 TAX는 고객님의 예약한 TAX의 평균치입니다
저희가 안내하는 항공료 TAX는 참조용입니다.
시스템적으로 가장 최근에 구매한 고객이 지불한 TAX 가격을 평균내어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첫번째이유인 국제유가와 환률이 지금과 다르고, 두번째 이유인 경유지에 따라 차이가 나게됩니다.
따라서 TAX가 변경되는것은 구조적으로 어찌할수 없다는점을 양지해주시고
특히나 안내하는 TAX는 고객님께서 구매하실때 참조하라고 안내해드리는 참조용 TAX 이란점을 감안부탁드리겠습니다.
최저가 항공권을 제공한다는 모토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운영에 따른 비용을 축소하고 보다 저렴하게 판매함으로써 전화상담 인력이 최소화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전화 예약 업무시에는 부득이 서비스 수수료가 발생됨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학생요금이란, 학생을 대상으로 항공사에서 할인해 주는 요금제도를 말합니다.
그러나, 항공사와 지역에 따라 한국 학생증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고,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요금" 을 적용 받을수 있는지 여부는 요금규정에 있는 "증빙서류를 제출할수 있는가?" 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증빙서류가 "한국학생증" 이라면 한국학교에 다니는 학생도 인정받는 것 이고, "미국학교의 학생증 "이라고
표기되어 있다면 "미국에 재학중인 학생" 만 이용 가능한 요금이 됩니다.
(요금규정의 증빙서류 표기화면)
답부터 말씀드리면, 항공사 요금정책때문에 그렇습니다. (항공사 결정에 따라 틀림)
아래 첨부된 그림중 (1)번 영역은 자세히 보시면 체류기간에 따라 요금이 틀립니다.
즉, 현지에서 체류가능한 기간에 따라 요금이 틀립니다.
그리고 (2)번영역은 체류기간도 똑같은데 요금이 틀립니다.
그 이유는 , 저렴한 좌석에 10개의 좌석을 배정하고, 좀더 비싼좌석에 10개의 좌석을 배정하여
비행기 탑승률과 수익의 적절한 조화를 꾀하기 위해 , 항공사에서 정책적으로 같은좌석인데
요금을 다르게 결정한 경우 입니다. 이경우 저렴한 요금에는 좌석이 없어도, 좀더 비싼요금엔 좌석이
있을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다른경우는 , 주말추가요금과 출발기간이 성수기라서 틀린경우등입니다
(홍콩 항공권의 요금표)
오픈예약(Open,귀국일 미지정)의 경우, 귀국편의 탑승날짜가 성수기,비수기, 최성수기 중 언제 돌아올지 모른다는
가정하에 비싸게 요금을 책정하여 출시하게 됩니다.
또한, 동일한 클라스의 귀국편 좌석 확보가 불가할 경우에는 가능한 날짜에 일정을 조정해야 한다는 위험부담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똑같은 1년 왕복항공권의 경우 1년 오픈 항공권과 , 출귀국일을 지정해야만 하는 1년 왕복항공권의 경우 30-40만원 정도의 가격 차이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귀국일 변경시 페널티비용 (날짜변경 수수료)을 지급하는걸 감안하셔도 귀국일을 지정하는 경우가 오픈예약보다 대부분 저렴합니다.
따라서, 오픈예약 보다는 날짜를 지정하고, 귀국날짜 변경시 수수료가 적거나, 변경 수수료가 없는 조건의 항공권을 우선적으로 찾아 보시고, 가격차이를 비교한 후 구매 하시는게 좋습니다.
TIP : 일반적으로 귀국날짜 변경시 수수료 1회 지급하는 조건의 항공권이 대체로 저렴합니다.
항공권을 구매하신 후 항공사나 여행사에 아무런 연락없이 탑승하지 않는 것을 No-show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항공사들이 No-show를 하는 고객에 대해서, 따로 벌금을 부과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No-show로 인해 경영상 어려움과 좌석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특히 성수기) No-Show시 그 항공권을 다시 사용하지 못하거나, 혹은 벌금을 내도록 하는 규정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정해진 날짜에 탑승을 못하거나 예약을 변경하실 경우, 반드시 72시간 전에 미리 요청을 하셔야 고객님께서 손실을 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이 비행기를 타고 목적지가 아닌 중간 경유지에 내려 그 도시에서 24시간 이상 체류하는 것을
스탑오버 또는 중간 경유지 체류라고 말합니다.
중간 경유지에서 잠깐 머물다가 다른 비행 편으로 갈아타는 것은 스탑오버가 아닌 ′경유한다′라고 합니다.
가령 캐세이퍼시픽 항공으로 유럽의 런던으로 가는경우에 비행기는 1회경유로서
인천-> 홍콩-> 런던으로 가게 됩니다.
이때 홍콩에서 비행기 환승시 공항안에서 24시간 이내로 기다려서 다음비행기를 타는경우는 "환승(transit) 라고 표현하며
홍콩에서 내려서, 출국심사를 받고 짐을 찾은뒤, 홍콩시내로 가셔서 2-3일 관광또는 볼일을 본뒤
다시 홍콩->런던 비행기를 타는경우를 스탑오버(stop over) , 도중체류 라고 합니다.
스탑오버(도중체류)는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여부와 , 가능하다면 무료로 가능한지, 유료로 가능한지 여부로 나뉘며, 와이페이모어 여행사의 경우 요금규정에 "경유지체류조건" 이라는 항목으로 가능,불가, 그리고 유료인지 무료인지 여부를 표기해 드리고 있습니다.
(요금규정화면)
<IMG src="http://attatch.whypaymore.co.kr/home/images/faq/wpm_ss_1109_006.gif">
통상적으로 일반석에 적용되는 기내 수화물의 크기와 무게는 개당 가로 55cm, 세로 40cm, 높이 20cm (총합 115cm)로써 무게 10kg~12kg 까지 이지만, 항공사마다 기준이 다르고 LCC(저비용 항공사)의 경우, 적용이 안되는 경우도 있으니 출발전 항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셔야 합니다.
[기내 반입 허용 수하물 안내]
- 체크인 카운터에서는 기내에 반입 가능한 기내용 캐리어, 배낭 등 을 제외하고 모두 위탁 수하물로 처리하셔야
합니다.
- 휴대 물품 중 기내 반입 시 여객의 생명과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물품과 액체류, 분무류, 젤류 등은 반입이
불가합니다.
출발 2시간 30분 전까지, 국내선 탑승의 경우 항공편 출발 1시간 전까지 공항 수속 카운터로
오시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항공요금의 적용기준은 예약일이 아니라 출발일입니다. 즉, 6월이 비수기인데 예약을 6월에하고 7월말에 출발 하시면 6월요금이 아니라 7월말 성수기요금을 적용합니다 |